biguse 우리는 지금 이대로라면 3년 뒤에라고 달라지지 않을 거라고 본다.-홍형숙 경계도시2 감독5:37 PM Mar 20th
Siempreche 피디저널리즘,기자저널리즘? 권력에 굴종하는 저널리즘이냐 권력을 감시하는 저널리즘이냐가 중요한 것,누가 만드는가가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그것이 알고싶다도 권력을 감시하는 저널리즘에 충실하지 못했다는 반성을 합니다 http://bit.ly/d3eQWK4:09 PM Mar 23rd
bodyout '트위터 저널리즘'이 새로운 대안으로 정착되기 위해선 '정확성' 과 '현장성'이 뒷받침 돼야 할 것이다. '카더라 통신'은 매우 위험하다. 어제처럼 회사 안에서 메모/연합속보 등으로 트윗을 날리는 것은 "난 언론사 다녀요" 이상의 의미는 없다.9:32 AM Mar 27th
zephyrs37 정말 좋아하는 곡을 들을땐 그 곡을 처음 듣던 그때의 장면, 느낌, 향기가 같이 전해진다. 그런곡은 곁에 지니고 계속 들으면 안좋다-너무 자주듣게 되면, 처음 들었을때의 그 장면은 흐릿해지고 그 느낌이 퇴색되어버리며 그 향기는 희미해진다.9:24 AM Apr 21st
silverytale 아기는 자고 있을 때 가장 사랑스럽고 애인은 멀리 있을 때 가장 애틋하다고 생각했었다. 비겁하게도. 지금은 아니다. 사랑하는 사람, 달려가 깨워서 왁자지껄 소풍 떠나고 싶다. 인생은 해를 등지고 노는 것. 1:51 PM May 2nd
bandobyul 내가 고무줄이라면 나는 어디까지 늘어날 수 있을까? 내가 바위라면 나는 얼마나 단단해질 수 있을까? 내가 눈물이라면 나는 얼마나 투명해질 수 있을까? 내가 노래라면 나는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불릴 수 있을까?6:51 PM May 3rd
suuuuuny21 한국일보최윤필기자의책'어느날나는바깥으로들어갔다'중- 사람이든 사물이든, 공간이든 시간이든, 모든 밀려나고 사라지는 것들에는 사연이 있고 맥락이 있다. 사연이 안타깝고 논리가 부조리해도 거기에는 도덕과 당위의 맥락으로 치환되지 않는 시스템의 힘이 있다. 3:58 PM May 10th suuuuuny21 이어- 어떤 것을 밀어내고 사라지게 하는 데 앞장서는 것(혹은 사람 혹은 논리)들은 그 시스템의 내력벽 뒤에 숨어 도덕적 부담을 덜고, 그러면서 시스템을 두텁게 굳힌다.3:59 PM May 10th
silverytale 흐름과 리듬을 타고 별뜻없이 뻗어나가는 언어의 성찬이 있고. 끝내 정확해지기 위해 건조하게 밀도를 높여놓은 저장형 문장이 있다, 취향 문제다. 진위가 아니라.11:12 PM May 11th
TellYouMore 중국에선 '하이누(孩奴)’란 신조어가 생겼다고 합니다. 아이(孩) 옆에 붙은 노예(奴)라는 글자를 통해 허리 휘도록 자식 교육에 몸바치는 현재의 부모들을 뜻하는 말이라고 하네요. 참 통렬한 신조어 입니다.12:52 PM May 14th
psyche182 사람은 영원히 머무르지 않는다. 내 곁에 있는 동안 최선을 다하자.9:38 PM May 16th
ichae1982 누군가는 사랑하는 사람을 두고 죽었고 사랑하는 사람과 죽었고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을 것이다. 광주의 비극이란 종내는 그 "소박한" 슬픔의 집합이다 신호철 기자 @hcshin 의 방콕 이야기도 들을때마다 가슴이 철렁인다. 죽지 않기를 죽이지 말기를10:35 PM May 19th
ReadLead글을 읽을 때, 글을 쓴 생각의 원형이 무엇이었을까를 생각한다. 생각의 원형을 찾는 과정에서 나만의 유니크한 생각이 개입한다. 읽기를 통해 원형을 추구하고, 원형의 원형을 추출하다보면 통찰에 이를 것이라 기대한다.^^3:26 PM May 23rd
nurison 출근길덕담=“이룩할 수 없는 꿈을 꾸고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하고 견딜 수 없는 고통을 견디며 싸워 이길 수 없는 적과 싸움을 하고 잡을 수 없는 저 하늘의 별을 잡자” - 세르반테스 <돈키호테>7:13 AM May 25th
bandobyul 최고라 인정받는 대중음악평론가가 되고 싶었다. 그러나 인정의 욕구는 사랑받고 싶은 욕망이었을 뿐이었다. 지금은 최고라고 인정받지 않더라도 막힘이 없고 내가 말하고 싶은 바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면 그걸로 족하다 생각한다. 나는 나의 길을 가겠다.9:20 AM May 26th
sangwoosky 강풍이 자주 부는 미국 서부 해안에는 세콰이어 나무가 산다. 이 나무는 뿌리가 얕아서 바람에 쉽게 날아갈 것 같은데, 거센 강풍이 불어도 쉽게 날아가는 법이 없다. 혼자 자라지 않고, 여럿이 숲을 이루고 얕은 뿌리지만 서로 단단히 얽혀 있기 때문이다10:43 AM Jun 3rd
editor4u 성장이 멈춘 한겨레, 내부경쟁이 없었다 http://bit.ly/9ytB7c10:04 PM Jun 14th
your_rights <최재천큐비즘> "우리는 르몽드를 공공자산으로 여긴다. 편집권의 완전한 독립과 경영진의 주요결정에 대한 기자협회의 거부권도 보장하겠다."(프랑스 르몽드의 새 주인들) 다릅니다.3:24 PM Jun 30th
rakooon 내가 높이 올라가려면 누군가를 밟아야하고 내가 보다 빛나려면 누군가는 어둠이 되어야 한다. 즉, 나의 성공은 타인의 희생과 상처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성공한 이들은 그 죄를 용서받기 위해 더 좋은 일들을 많이 해야하는 것이다.12:11 AM Jul 3rd
hcroh7백여년간 경남함안 옛산성 땅속에 묻혀있다 발견된 고려시대 연꽃씨앗이 꽃을 피웠네요 자연과 생명의 힘을 새삼 느낍니다 동시에 우리자신괴 우리사회안에 적절한 조건을 확보못해 오랫동안 잠들고있는 씨앗은 없는지 되돌아보게 됩니다. 11:06 AM Jul 8th bookhling과학으로 인간과 세상을 좋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는 이상에 솔깃한 적도 있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실체가 보이는 듯 하다. 영원히 살고싶어하는 돈많은 백인 남자들.9:38 AM Jul 10th
ParkKD대중은 상식이다. 그러나 개인, 세상의 모든 캐릭터는 모순이다. 스토리텔링은 일상적이지 않은, 캐릭터의 이야기다. 독특한 캐릭터는 필요치 않다. 평범한 캐릭터라도 그가 가진 모순을 놓치지 않는다면, 좋은 캐릭터가 된다. #스토리텔링_7:20 PM Jul 16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