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니까 청춘'이란 말의 폭력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프니까 청춘이라고? -몇 주째 베스트셀러 1위인 책이다. 청년실업 100만 시대의 늪에서 허우적대는 88만원 세대를 위로하려 쓴 서울대 김난도 교수의 글에서 많은 이들이 위안을 얻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아프니까 청춘’이라고, 권위 있는 누군가가 말해야 ‘그래, 그렇지’라고 끄덕이는 현실, 그것은 ‘아픈 청춘을 인정하지 않는 시대’의 역설이다. '아프니까 청춘'이란 말에 수십만 독자가 공감하는데도 매년 대학생 300명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한국 최고 과학 영재들이 모였다는 카이스트도 예외가 아니다. 석 달 만에 학생 넷이 세상을 등졌다. 죽은 자는 말이 없으니 누구도 섣불리 이유를 말할 수 없다. 그러나 ‘징벌적 등록금제’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카이스트 대개혁’을 외치며 취임한 서남표 총장은 일정 점수 이하 학..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