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너는 내 마음에 남아/보고 듣고 읽고 쓰다

언젠가는 엄마와 별을 세고 싶다.


10점

엄마도 죽을 수 있다. 


중3의 어느 봄날, 외할머니의 관이 아래로 더 아래로 내려갈 때마다 엄마의 통곡은 높아졌다. 외할머니의 관 위로 더 위로 흙이 쌓이고 잔디가 하나둘 꽂힐 때마다 엄마의 눈물은 메말라갔다. 마른 울음은 절규에 가까웠고, 양 어깨는 불규칙하면서도 빠르게 흔들렸다. 그제야 깨달았다. 엄마도 언젠가는 죽는다는 사실을. 나도 언젠가는 엄마처럼 하얀 소복을 입고, 삼베 리본을 옆머리에 꽂고 울게 된다는 사실을. 


박상규 선배가 쓴 <이게 다 엄마 때문이다>를 읽으며, 5월치고는 몹시 태양이 뜨겁던 그 날을 떠올렸다. 아직도 엄마의 죽음을 상상하기 어렵다. 하지만 엄마의 늙음은 갈수록 눈에 띈다. 염색기가 날아간 머리는 뿌리부터 새하얗게 변했고, 수두를 앓은 흉터가 남은 눈가에는 주름이 깊어간다. 하나둘 챙겨먹는 영양제 종류가 다양해지고, 이전보다 운동에 열을 올리며 김치 하나를 담그는 일도 버겁다는 말이 잦아진다. 여전히 식탁에는 열무김치, 오이소박이, 나박김치, 동치미 등이 제철에 맞춰 올라오지만. 또래보다 5살 이상은 어려보이는 아빠의 얼굴에도, 다부진 어깨에도 세월의 더께가 쌓여간다. 


선배는 ‘오작교’ 보신탕집 아들이었다. 수많은 개들이 그를 뒷바라지한 역사를 기리며 선배는 ‘개천마리(개 1000마리)’란 별명을 쓴다. 또 선배는 버스 뒷좌석에 앉아 아버지와 살던 청계산과 어머니가 홀로 지내는 창신여인숙, 세상의 끝과 끝을 오가며 자랐다. 술과 도박, 여자를 너무 사랑한 아버지 때문에 어머니는 청계산을 떠났다. 알록달록한 비키니를 입고, 삶과 땀이 뭉쳐있는 누군가의 때를 밀었다. 고물 오토바이를 몰고 도박판에 간 날이면, 아버지는 열흘 넘게 집에 돌아오지 않았다. 오작교에 홀로 남은 어린 선배는 울다 지쳐 잠들곤 했단다. 무섭고, 아프고, 가슴 저린 시간들은 언젠가부터 손가락을 움직였다. 글을 쓰기 시작했고, 기자가 됐다. 선배는 책에서 ‘이게 다 부모님의 이혼 탓’이라고 말했다. 


칠든 섬세하든 지금의 내 감수성은, 풍부하든 비약하든 지금의 내 상상력은, 태평양처럼 넓든 도랑처럼 비좁든 지금의 내 마음 씀씀이는, 그리고 가볍든 묵직하든 지금의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은, 세상의 끝을 오가며 보냈던 그 시간들에 많은 빚을 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김중식의 시 <식당에 딸린 방 한 칸>에 나오는 것처럼, 내가 조금이라도 “나를 닮아 있거나 내가 닮아 있는 힘 약한 사물”을 사랑하고 있다면, 그것은 모두 창신여인숙 2층 끝방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청계산 자락에서부터 한 시간 정도 걸은 뒤, 12-1번 버스를 타고 한 시간 정도 달려 안양 남부시장 창신여인숙 2층 끝방에 도착해서야 어머니를 만날 수 있던 선배는 이제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 “다음 손님!”을 외치며 탁탁 손뼉을 마주쳤던 어머니의 손에는 초록색 때밀이 수건 대신 빗자루가 쥐어졌다. 대문 근처에 살구나무가 곧게 뻗어 있는 집에서 선배는 어머니와 함께 간장게장을 만들고, 김치를 담그고, 텃밭에서 키운 콩을 갈아 만든 국물에 국수를 말아먹는다. 깊은 상처에 새살이 돋고, 마음 가득 차오른 슬픔을 퍼다 버리며 세월을 견뎌온 끝에 얻는 소소한 일상이다. 


상처와 슬픔이 그에게 건넨 또 다른 선물은 ‘비주류 인생’이었다. 15등급까지 있던 고교 내신 성적은 4등급이었고, 데모와 연애판에 기웃거렸던 대학시절 졸업성적은 2.55였고, 타워팰리스 공사 현장과 삼성전자 LCD 공장에서 일했던 삶을 되짚으며 선배는 “하루도 주류로 살지 못했다. 늘 문제아였고 2등 국민이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목을 빳빳하게 들고, 시선은 늘 위를 향하고 있는, 세상이 말하는 ‘주류’가 선배의 목표는 아니었으리라. 아버지의 유산을 다시 나눠야 한다며 소송을 건 형에게 “감히 나 보고 건희라니”라던 어느 회장님 같은 삶이 주류라면, 손 안에 든 무언가를 놓아버릴 수 없다는 고집이 느껴지던 그 얼굴이 1등 국민의 얼굴이라면, 나 또한 ‘비주류 인생’을 살고 싶다. 상처받은 사람들의 목소리를 한 번이라도 더 듣기 위해 낡은 등산화를 신고 뛰어다니는 선배처럼.


이쪽의 없는 사람들은 자기 집을 지키기 위해 화염병을 들고, 저쪽의 없는 사람들은 일당이라도 벌어 입에 풀칠하려고 쇠파이프를 든다. 늘 이런 식이다. 있는 사람들은, 그리고 눈에 보이지 않는 자본은 이쪽의 없는 사람들을 치기 위해, 저쪽의 없는 사람들을 동원한다. 본인들은 뒤로 빠져 더러운 꼴도 안 보고 손에 피도 묻히지 않는다. 대신 없는 사람들만 서로 죽어라, 치터지게 싸운다. …(중략)… 역설적이게도 없이 사는 사람들은 살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건다. 쌍용차 공장에서 그랬고, 여러 철거촌 현장에서 그랬다. 목숨 걸고 이판사판 싸우는 이를 제압하기 위해, 또 목숨 말고는 남아 있는 게 없는 이들이 투입된다. 이렇게 없는 사람들은 피하고 싶은 순간에 극적으로 마주친다. 


지리산에 기대어 20대 시절을 건너온 선배는 이제 곰배령에 오른다. 50cm씩 쌓인 눈길을 헤쳐 가며 차를 몰고, 길바닥에서 자고 프락치로 오해받으며 현장을 누빈 끝에 얻은 1개월짜리 휴가마저 ‘곰배령 노가다’에 쏟을 만큼 그곳에 꽂혀있다. 늘 ‘등산 좀 다녀야 하는데’란 말을 입에 달고 살면서도, 1시간 산행으로도 헉헉대는 저질체력 탓에 일요일 아침마다 결국 늦잠을 택하는 나와 정반대다. 어린 시절 맨몸 맨발로 나무를 오르며 푸른 숲 속에서 뛰놀던 ‘청계산 타잔’출신이어서만은 아닌 듯하다. 누구나 가슴에 수많은 사연이 담긴 구멍 하나쯤 있기 마련이다. 우리는 때때로 그 무게가 버거울 때 기댈 수 있는 언덕을 찾으며 살아간다. 30대 후반전에 접어든 선배의 언덕은 곰배령이다. 


사람은 누구나 어떤 언덕에 기대어 시절의 강을 건너는 게 아닐까 싶다. 내가 숨을 수 있고, 나를 감출 수 있는 그런 언덕. 가만히 있기만 해도 편안하고 나무 한 그루 꽃 하나가 괜히 위로가 되며, 아무런 해답을 주지 않는다는 걸 알면서도 계속 기댈 수밖에 없는 언덕말이다. 내 20대의 언덕은, 지리산이었다. …(중략)… 돌아보면, 한의사 말대로 살기 위해서 곰배령을 찾은 듯하다. 척박한 곰배령에서 아늑함을 느꼈고, 무엇보다 잠을 참 편히 잔다. 서울이 요구하는 표준이 답답하고 거기에 닿을 수도 없는 찌질한 내게 곰배령은 일종의 피난처다  


아직까지 내 언덕은 사람이다. 하지만 언젠가는 곰배령 같은 곳을 찾고 싶다. 그 유력한 후보 중 하나가 제주도인데, 마지막 책장을 넘기며 경쟁지를 찾았다. 선배가 구상 중인 ‘진달래 민박’이다. 지리산이나 남해 아니면 강원도 깊은 산골에 위치할, 낮은 돌담 옆에는 감나무와 벚나무, 살구나무 등이 있고, 듬직한 ‘꽃개’와 ‘대개’가 선배와 함께 손님을 반길 집이다. 맑은 시냇물이 졸졸 흐르는 그곳에서 엄마와 별을 세고 싶다. 행여 삐치지 않도록, 아빠와도 함께 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