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악명 높은 ‘징벌적 수업료제’를 소위스카이대학에 도입했다면 자살을 감행한 학생이 수십 명은 족히 나왔을 것이니까. 좌절과 열등감에서 빠져나올 비상구가 차단된 젊은이에게 그것은 족쇄이자 낙인이다. 시대정신 혹은 역사적 대의에 몸 바쳤던 그 시절엔 개인적 고민이 오히려 가볍게 느껴졌던 것은 역설적이다. 이성의 등불로 시대의 어둠을 밝히려는 대의(大義) 하나만으로도 벅찼다.
역사의 부름에 청춘을 산화한 선배들의 유언이 진달래꽃처럼 붉게 피어나는 이 봄날 캠퍼스에 후배들은 시대의 수인(囚人)이 되어 모험과 반역의 유혹을 접어야 한다.
역사의 부름에 청춘을 산화한 선배들의 유언이 진달래꽃처럼 붉게 피어나는 이 봄날 캠퍼스에 후배들은 시대의 수인(囚人)이 되어 모험과 반역의 유혹을 접어야 한다.
‘공장처럼 효율성만 강조하고 철학이 없다’는 KAIST 학생의 절규에 서 총장은 예의 소방호스론’으로 응답했다. 물을 쏟아붓는 듯한 공부압박을 이겨낸 정신적 양식을 젊은 시절 서 총장은 분명 갖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젠 유효기간이 만료된 것임을, 시대와의 소통망이 끊긴 요즘학생들에겐 울림이 없는 낡은 철학임을 모른다는 것이 문제다. 신세대 젊은이들의 정신적 허기를 채워줄 신개념의 대의가 필요한 것이다.
…KAIST 학생의 연쇄자살은 젊은 세대에게 경제기적의 자부심으로 가득 찬 기성세대가 무슨 짓을 했는지를 보여주는 극단적 사례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빈곤시대의 철학으로 이시대의 젊은이들을 스펙의 감옥으로 몰아넣지는 않았는지, 사회적 진입장벽을 높이 쌓고 넘어보라고 느긋하게 즐기지 않았는지, 승자들이 성공의 사다리를 걷어차지는 않았는지를 묻는다면 누가 흔쾌히 아니라고 답할 것인가. 정말 인정하고 싶지 않은 사실이 하나 있다. 우리 기성세대는 젊은 세대에게 세상을 개선할 방법을 가르치는 데 실패했다는 점이다. 세상을 개선하겠다는 그 역사적 소명에 투철했던 기성세대가 젊은 세대를 옥죄는 시대 구조를 조금이라도 바꿔 주는 데에 우리처럼 소홀했던 세대가 또 있으랴 싶은 것이다.
젊은 세대의 미래는 권력, 부, 지식을 독점한 기성세대의 재량에 맡겨져 있다. 정말 부끄럽게도, 우리의 기성세대는 그들의 정신적 무기고를 채워주지 못했다. 정치혁명에 몸 바친 기성세대가 그들에게 희망의 언어를 선사할 변변한 정치가, 변변한 사상가 한 사람을 제공하지 못했다.
공익이 무엇인지, 세대의 짐을 어떻게 나눠 가질 것인지, 패자와 약자를 어떻게 포용할 것인지를 외면한 채 이익선점과 권리투쟁에 온 정력을 쏟아온 그 직무유기의 무대 뒤에서 젊은 세대원들이 한 점 꽃잎처럼 몸을 던져도, 아집에 함몰된 기성세대는 자살의 항변을 듣지 못한다.
송호근 서울대 교수·사회학
'너는 내 마음에 남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생하면 연애하고 싶다" (0) | 2011.05.16 |
---|---|
중요한 이야기 (0) | 2011.05.11 |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김수영 (0) | 2011.02.26 |
우리의 단결을 가장 잘 정당화하는 것 (0) | 2010.12.31 |
안보를 묻는다/김연철 인제대 교수 (0) | 2010.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