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너는 내 마음에 남아/보고 듣고 읽고 쓰다

뻔한 답을 말하지만 - <그을린 사랑>

재일학자 서경식 독일 드레스덴 주립미술관에서 오토 딕스의 '전쟁'을 관람하던 주민에게 그림의 인상을 묻는다. 그는 "어머니에게 전쟁 이야기를 들어보면 현실은 이 그림보다 더 가혹했던 것 같다"고 답한다. 하지만 직접 보지 못하고, 겪지 못한 자라면 그 누가 짐작이나 할 수 있을까? 전쟁이 얼마나 인간을 파괴하고, 삶을 황폐하게 만드는지를 말이다. 

상상 이상의 고통과 충격. 사실 전쟁의 내용과 결과는 늘 그랬다. 영화 <그을린 사랑>은 마치 바다는 늘 상상보다 큰 것처럼, 전쟁 또한 생각 이상의 비극을 낳음을 보여준다. 투박하지만, '헉' 소리가 절로 나올 만큼 날 것 그대로를.

어머니가 죽었다. 유언을 남겼다. 아버지와 또 다른 형제를 찾아서 편지를 전달하라고, 마지막 당부를 지키지 못한다면 자신을 나체로 엎드린 채 땅에 묻고 비석조차 새우지 말라고. 평생 어머니를 이해할 수 없던 시몽은 마지막이나마 평범하게 할 수 없다며 거부한다. 그의 쌍둥이 잔느는 말없이 어머니의 과거를 찾아, 아버지와 오빠를 찾아 길을 떠난다. 그 길의 끝에서 미처 알지 못했던 어머니의 진실과 슬픔, 또 사랑을 발견하게 된다. 



고향을 떠나 캐나다에 둥지를 틀고 평범한 사무직 여성으로 살아가기 전, 어머니는 사랑을 했다. 사랑하는 이와 다른 삶을 찾아 떠나려했지만 보수적이고 엄격한 관습은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사랑을 잃은 그는 다시 새로운 삶을 꿈꿨다. 하지만 전쟁은 어머니의 희망을 짓밞았고 피에 젖은 손에 총을 들렸다. 그렇게 어머니는 테러리스트가, 머리를 깎인 채 독방에 갇혀 노래를 부르는 죄수가 됐다.  



천안함이 검푸른 물 아래로 가라앉고, 46명의 선량한 사람들이 희생됐을 때 어떤 이들은 '전쟁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며 엄중한 대응을 주문했다. 복수를 부르짖었다. 그때 한 노교수는 말했다. 전쟁은 단순한 추상명사가 아니라고. 그것은 사람들의 머리 위로 떨어지는 포탄이며, 구덩이에 파묻히는 시체 더미이며, 파괴되는 보금자리이며, 생사를 모른 채 흩어지는 가족이라고 했다.

영화를 보며 그의 말을 조금 더 이해할 수 있었다. 전쟁은 비극의 동의어며, 참혹하거나 잔인하다는 형용사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실임을.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비극이 단순히 '영화스럽다'고 느껴지지 않은 이유 역시 비슷하다. 캄캄한 극장에서 나도 모르게 외마디 비명을 내뱉을 만큼 놀라웠던 반전은 어쩌면 충분히 가능할지도 모른다 느꼈기 때문이다. 포화가 쏟아지는 가운데,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일이 생존을 넘어서 게임이 되는 전쟁 속에서라면 있을 법하다는 생각에 절로 몸서리가 쳐졌다. 



인류 역사상 전쟁이나 다툼이 없던 시기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지금 이 순간도 중동의 어느 곳에선 포탄이 날아들고 총격이 난무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끊임없니 반복되온 이 비극을 어떻게 끝낼 수 있을까? 영화는 그 답을 '사랑'이라 말한다. 폭력과 상처가 아닌 사랑이 이야기의 시작이라며, 어머니는 잔느와 시몽에게 '너희는 사랑으로 태어났다'는 말을 남긴다. 결국 사랑으로 분노를 잠재우고 비극의 뫼비우스 띠를 끊어야 한다는 메시지로 <그을린 사랑>은 끝을 마무리한다.

어찌 보면 참으로 뻔한 해법이다. 하지만 '사랑'은 수만년 동안 인류의 비극을 끝맺을 단 하나의 열쇠로 꼽혀 왔다. 문제는 그 해법이 상투적인 게 아니라, 단순하고 뻔한 답조차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우리에게 있는 것일지 모른다. 어디선가 총성이 울리고 사람들이 쓰려져간다. '사랑'으로 우리를 어떻게 구원해야 할까? 뻔한 답을 버리는 게 아니라 그 답을 어떻게 실현할까를 고민해야 한다. 더 늦기 전에.